[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도로를 지나다 보면 가끔 눈에 확 띄는 차가 하나 있다. 언뜻 ‘BMW 미니’ 시리즈와 비슷해 보이지만 앞뒤로 훨씬 납작하고 조용히 지나가는 2인승 소형차. 국내 초소형전기차 제조사 마이브의 ‘M1’이다. 자신보다 훨씬 큰 차들이 즐비한 도심, 비슷한 비교 대상으로 경차가 존재하는 시장에서 이처럼 작은 전기차의 효용은 충분할까? 8일 마이브의 경기도 안양시 본사를 찾아 직접 시승해봤다.
초소형전기차는 법적 분류상 ▲최대 출력 15kW ▲길이 3.6m ▲너비 1.5m ▲높이 2m ▲공차중량 600kg(승용), 750kg(상용) 이하에 속하는 차다. M1은 길이 2.8m, 너비 1.5m, 높이 1.56m, 10kW 배터리를 탑재해 초소형 승용전기차 조건을 만족하는 차다.
이번 시승은 마이브 본사에서 경기 의왕시 왕송호수를 왕복하는 25km구간에서 이뤄졌다. 전반적인 주행감과 사용 편의성, 주행가능 거리 확인 등에 초점을 뒀다.
기본적인 조작은 기존 내연기관차와 크게 다르지 않다. 변속기에 P(주차)단이 없는 다이얼 형태는 다소 독특해 보였지만 중립에서 사이드 브레이크를 채워 주차할 수 있다. 대시보드는 패널에 현재 속도와 전압, 주행가능거리, 배터리 잔량 등이 표시된다. 9인치 LCD 내비게이션은 국내 초소형전기차 최초로 안드로이드오토와 애플 카플레이를 기본 지원한다. 예컨대 안드로이드폰이면 시동 직후 안드로이드 오토로 TMAP을 연동해 길안내에 활용할 수 있다.
가속과 브레이크는 페달을 깊숙하게 밟는다는 느낌만 익히면 금방 적응할 수 있었다. M1의 최대 시속은 80km이며 도심 내 주행에 무리가 없는 수준이다. 전기차인만큼 가속 능력이 좋았고, 특히 경차보다 작은 차체는 차량들 사이에서 차선을 이동할 때 확실히 부담이 적었다.
주행감은 도로 사정에 따라 달라진다. 작고 가볍게 만들어진 탓에 포장이 고르지 못한 도로나 높은 방지턱을 지날 땐 진동과 충격이 일반 승용차보다 크게 전달됐다. 초소형전기차는 애초에 단거리 라스트마일 주행에 특화된 카테고리로 시장에 출시된 만큼, 이는 감수해야 할 부분이다. 포장도로에서는 일반차와 비슷한 안정감이 느껴진다.
배터리 및 전장품의 전비 제어는 안정적으로 이뤄지는 듯하다. 이날 주행은 한낮 체감 온도가 35도를 웃도는 찜통 가운데 진행돼 에어컨을 계속 최대로 가동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본사에서 출발할 당시 43%였던 배터리 잔량은 에어컨을 최대 가동하며 주행을 마친 후 6%로 표시됐다.
디자인과 적재 능력은 M1의 매력 포인트 중 하나다. 보통의 초소형전기차보다 볼륨감 있는 디자인은 작고 짧은 차체에도 불구하고 초소형 SUV 같은 느낌이 든다. 주행 중에도 주변 차량과 보행자들의 호기심 어린 시선이 집중되는 걸 느꼈다. 디자인에 대한 개인의 호불호는 있겠지만 적어도 초소형전기차 카테고리 내에서 ‘잘 빠진 디자인’이란 점에선 이견이 없을 듯하다.